Up to Speed: How Automated Order Picking Protects Product Freshness

By Derek Rickard No Comments

In a race against time, distribution centers must move products from receiving through storage and dispatch as fast as possible to meet short lead times and deliver fresher, safer food to market. But with the need for speed outpacing some facilities’ capabilities, it might be time to look at automation for help.

Share this:

Today’s food producers and retailers are in a constant race against time. This race starts within the four walls of the distribution center, where products must move from receiving, through storage and dispatch—with high speed and accuracy. While the goal (or finish line) is to get these products to stores as fast as possible and meet consumer expectations, speed of delivery also plays a vital role in ensuring the quality of foods—particularly easily perishable ones like fruits, vegetables, eggs, meats, certain dairy products and baked goods.

Namely, efficient product flow means companies can meet shorter lead times and thereby deliver fresher, safer food—with longer shelf lives—to market. It’s a seemingly easy concept, yet many organizations continue to stumble as a result of ongoing operational challenges that slow distribution down, especially in facilities that continue to utilize manual order picking.

Major challenges include:

  • Continued reliance on physical labor with fulfillment speed highly dependent on the endurance of individual employees.
  • SKU proliferation due to product diversification, where facilities must now store and manage more products than ever before in a seemingly shrinking amount of space.
  • Seasonal spikes in business that require order picking staff to work harder and often longer hours to keep up with the influx of orders.

For organizations struggling to address these challenges and meet the need for speed in distribution, now is an opportune time to look at automation. There are now robotic order picking systems that can store, retrieve and move products effortlessly through a facility, ensuring rapid handling and very short lead times.

By choosing to automate, food producers and retailers can realize numerous benefits, including the following.

1. Accelerated Order Fulfillment

Naturally a robotic system can assemble orders and prepare them for outbound shipping far faster than humanly possible. Thus, an automated distribution center is often up to six times more efficient than a manual one. Notably, there are systems now that integrate order picking and product handling in a single solution, rather than separate functions (as traditionally done but which is too slow for fresh food distribution).

Such a system can perform both buffer storage and order picking in one simultaneous operation for significant time savings. Facilities can thereby prepare orders closer to the time of a truck’s arrival, instead of hours in advance. Foods then spend less time in transport and can maintain their quality and consistency. This also helps to reduce chances of spoilage, which in turn cuts back on waste and the supply chain’s impact on the environment.

2. Improved Ergonomics and Workplace Safety

In distribution centers that rely solely on manual order picking, employees have to run up and down long stretches of aisles and lift heavy crates or boxes. In addition to being inefficient, such manual operations make order picking a strenuous and injury-prone job. The risks for injury have only helped further the labor shortage problem seen nationwide, as job seekers show declining interest in material handling careers.

But when automated systems take over the majority of order picking processes, there is less human involvement—which can help fill in any gaps left by labor shortages. Order fulfillment speed also becomes less dependent on the physical capabilities of employees. Existing staff can then be elevated into new roles in managing and overseeing automated systems. These are safer and far more enriching positions that can draw a whole new pool of technical talent.

3. Better Space Utilization

As mentioned, there is a growing trend towards product diversification, where companies are now offering more options to consumers, such as additional sizes, flavors and health-conscious choices. As a result, the number of SKUs in most distribution centers is exploding. Some facilities once designed to house a few hundred SKUs are now dealing with thousands, leaving little room to spare.

Those challenged by SKU proliferation can consider an overhead robotic system that uses high-density, floor-based storage, where goods are stacked on the warehouse floor.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racking or traveling around aisles. Plus, it reduces the number of movements required to pick an order. Facilities can store more products within their existing space, offsetting the costs of possible new construction. An overhead robotic system can also clear all products from the warehouse floor for easy, hygienic cleaning.

4. Flexibility to Keep Up During Seasonal Peaks

In all consumer goods industries, there are times of the year when demand spikes and orders come pouring in. For the food industry, companies tend to see spikes during the holiday season and in the summer months—times when people commonly host get-togethers.

Seasonal peaks can take a heavy toll on manual warehouse operations. Some try to hire temporary employees to get by, but that comes with challenges in providing proper training in a short span of time. But automated systems—particularly those with a modular design—are flexible and scalable, enabling facilities to adjust their number of robots to meet fluctuations in order volume—during seasonal highs and lows.

A notable example of a food company that is successfully leveraging automation is grocery leader Kroger. Namely, Kroger wanted to develop a state-of-the-art, automated plant and distribution center to achieve many of the benefits discussed above, including ensuring product quality and reducing employee risks of injury.

Built in Denver, Colorado, Kroger’s “Mountain View Foods” facility processes fresh conventional and organic milk, and packages aseptically processed milk, creams and juices. Within Mountain View Foods, Kroger has installed an end-to-end automated system that can store up to 36,000 crates and pick 32,000 crates per day. Cases are picked according to specified sequences on one end of the facility and then palletized for truck loading at the other, with significant storage buffering in between.

Having installed an end-to-end automated system, Kroger benefits from orders picked with 100-percent accuracy, at faster speeds, which results in shorter lead times and optimal product freshness for shoppers. Image courtesy of Cimcorp.

A warehouse control system (WCS) controls all robotic movements and serves as the brains behind the automation. The software also collects data on each processed order, giving Kroger traceable information to meet food safety requirements. Kroger benefits from orders picked with 100-percent accuracy, at faster speeds, which results in shorter lead times and optimal product freshness for shoppers.

Kroger’s story demonstrates the power of automation in enabling more streamlined order fulfillment. Those that choose to automate can overcome the many challenges that inhibit efficient product flow and thereby bolster their supply chain velocity. Simply put, faster fulfillment means fresher products in stores. And, fresher products are safer products for consumers to enjoy.



- “2022년 완공 직후 일처리 물량 2배 확대” 
- 전국 캐파 295만 수준 증대…비용절감 등 부가가치 창출
   

 

지난 3월 롯데로지스틱스와의 통합 합병을 거쳐 3조원 규모의 물류회사로 거듭난 롯데글로벌로지스가 대규모 시설투자를 단행하면서 대대적인 라인업 정비에 착수했다.

이달 들어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충북 진천군에 조성될 택배 메가허브터미널를 구축키로 확정하고, 해당 시설물을 통해 1일 145만개 상자를 소화하는 현재의 캐파(생산능력)를 295만까지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회사는 오는 20일 충북 진천군 초평은암산산업단지에서 터미널 기공식을 시작으로 연면적 15만9394㎡(약 4만8200평) 규모의 인프라 증설이 본격화되며, 작업은 2022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하루 150만 상자를 수용 가능토록 설계된 점을 감안하면, 진천 메가허브터미널이 본 가동되는 즉시 롯데글로벌로지스의 캐파는 2배 이상 늘게 되며 그로 인해 국내 택배시장 점유율 쟁탈전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게 될 것으로 회사는 보고 있다. 

특히 비용 절감 부분에서 경쟁력이 상당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회사에 따르면 진천 터미널은 온라인 쇼핑 등 이커머스(e-commerce)에 특화된 시설로 설계돼 있는데, 실시간 주문 및 변동 사항이 빈번한 특성을 반영해 자동분류기 등 첨단시설로 인프라가 조성되며, 전국 15개소 허브 터미널에 흩어져 있던 수도권 주요 지역 물량을 진천 터미널에 집결 후 일괄 처리하는 방식으로 조치될 예정이기에 원가 절감은 물론, 운영 효율화에 따른 생산성 강화도 파생될 것이란 분석이다. 

이런 이유는 그룹 차원에서의 전폭적인 투자 지원을 확정하는데 한몫했다.

롯데그룹 물류사의 통합 후 진행되는 첫 대규모 사업이라는 점과 국내 택배시장에 만연한 저단가 구조에서 수지타산을 맞추기 위해서는 ‘규모의 경쟁’과 ‘무인자동화’를 골자로 한 시설정비와 개보수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판단이 3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성사시킨 것이다.

롯데글로벌로지스 관계자는 “현재 서울 송파, 대전 등 전국 15곳 허브에서 하루 145만건의 택배가 처리되고 있는데 여기에 진천 터미널의 150만건 캐파가 추가되며 국내 빅3 택배사의 경쟁구도는 달라지게 될 것”이라며 “택배 서비스의 생산성뿐만 아니라 전국 허브와 물류 네트워크 재구성에 따른 추가 물량 확보 및 비용절감 등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교통신문 이재인 기자] 

 

CJ대한통운, 중국 내 거점 추가-한진, 서산에 택배터미널·롯데, 여주에 의류통합물류센터 건립

물류사 거점 투자 계획


국내 물류업계가 몸집을 키우고 있다. 국외 영업 거점을 늘리고 국내 주요 지역에 터미널을 확충한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CJ대한통운 (149,500원 상승1000 0.7%) 해외법인 CJ SPEEDEX(스피덱스)는 최근 중국 광둥성 더칭에 자회사(CJ SPEEDEX LOGISTICS DEQING CO.,LTD)를 설립했다. 

CJ SPEEDEX 영업증대가 목적이라고 CJ대한통운 측은 설명했다. CJ SPEEDEX는 2016년 CJ대한통운이 중국 3대 종합전자회사인 TCL그룹과 50대 50으로 함께 설립한 합작법인으로 전기·전자 산업군 물류에 특화된 종합물류기업이다. 중국 전역에 48개 거점을 두고 TCL그룹의 전기·전자제품 물류에 기반한 종합물류사업을 폭넓게 진행하고 있다.

'2020년 글로벌 5대 종합물류기업으로 도약'을 목표로 내건 CJ대한통운은 올해 글로벌부문에 602억원을 투자해 글로벌 택배 물류설비 등을 확충할 계획이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MNC(제조기업) 고객을 지속 확보하고 신규 자회사와의 시너지를 늘려서 성장 역량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업계 2위권인 한진 (41,050원 상승950 2.4%)과 롯데글로벌로지스는 국내에 터미널을 신축한다. 한진은 최근 이사회를 열고 충남 서산에 택배 터미널 설립을 위한 토지 매입 계획안을 처리했다. 현재 한진은 서산 내 임차 부지에 택배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다. 이 터미널의 처리 물량은 월 35만개 정도다. 

한진이 매입할 토지 면적은 약 9917㎡로 계약은 다음 달 중 진행한다. 한진 관계자는 "서산은 대산 산업단지 활성화로 인구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앞으로 물량 증가에 대비해 운영 안정화 기반을 마련하는 측면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터미널 착공 시기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경기도 여주시 연라동에 의류통합물류센터를 2022년 4월까지 건립한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총 1588억원을 투자해 17만㎡ 부지에 연 면적 10만5785㎡ 규모의 최첨단 물류센터를 지을 예정이다.

롯데글로벌로지스가 의류통합물류센터 투자에 나선 것은 온라인 쇼핑 확대 등으로 전체 의류시장이 성장하고 있어서다. 의류시장은 매년 8% 이상 커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이에 롯데글로벌로지스는 물류센터 통합 및 자동화를 통한 생산성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롯데글로벌로지스 관계자는 "현재 수도권 7개 의류물류센터를 통합해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기대한다"면서 "앞으로 운영 거래처 장기계약을 추진하고 의류 물류시장 시장점유율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본출처 : http://news.mt.co.kr/mtview.php?no=2019052214480966638

 

"거점 늘리자"…몸집 키우는 물류업계 - 머니투데이 뉴스

국내 물류업계가 몸집을 키우고 있다. 국외 영업 거점을 늘리고 국내 주요 지역에 터미널을 확충한다.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CJ대한통운 해외법인 CJ SPEEDEX(스피덱스)는 최근 중국 광둥성 ...

news.mt.co.kr

 

 

유진초저온, 국내 최초 에너지 자립형 물류센터 시대 개막

평택물류센터 준공식 개최, 이재명 경기도지사 등 500여명 참석




지난해 12월 7일 준공이 완료된 유진초저온 평택물류센터가 3월 5일 준공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유진초저온 평택물류센터는 대지면적 27,876평에 114,940톤을 수용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냉장·냉동 물류센터로 전기식 냉동기가 아닌 LNG 냉열을 활용한 신선물류센터로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새로운 모델이다. 평택물류센터는 냉열을 활용한 냉동, 냉장은 물론 상온 물류센터를 겸비한 복합 물류센터로 개발 됐다. 냉동 물류창고(A동)는 연면적 12,800평 규모로 자동화센터가 포함됐으며 최대 수용량은 39,120톤이다. 냉장 물류창고(B동)는 연면적 16,743평 규모로 수용 톤수는 46,680톤에 이른다. 상온 물류창고(C동)는 14,940평 규모로 개발 됐다. 각 물류센터에는 가공장이 포함되어 있다.


이날 준공식에 참석한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축사를 통해 “유진초저온의 사업내용을 보면 감탄을 금치 못하겠다”며 “에너지를 자족하고 입주해 있는 기업들과 공존과 상생이 가능하다는 점이 놀랍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유진초저온의 사업이 성공적으로 안착해 다른 지역과 기업들에게 귀감의 사례가 됐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이날 준공식에는 양원돈 유진초저온 대표이사, 이재명 경기도지사, 정장선 평택시장, 유의동 국회의원 등 500여 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출처 : http://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000

All That Coldchain


콜드체인 A to Z


제품화·물류인프라·품질검증 기술의 융합

식품·화훼·의약품·화학·전자제품 등 포괄

글로벌 콜드체인시장 내년 2,334억달러 전망




기술이 진보하고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시장이 생겨나기도 하고 없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산업의 성장과정에서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된 분야가 식문화일 것이다. 구석기 시대에 채집·사냥 등으로 떠돌아다니다가 정착생활을 시작할 수 있었던 이유가 농경의 시작이었다.


4대 문명의 발생지 역시 큰 강을 중심으로 식량생산성이 우수한 지역이었으며 고대국가들은 농업경제력에 따라 인구수의 증가 및 사회·문화적 융성이 결정됐다.


인류가 기계장치를 이용해 저온을 만들어낼 수 있었던 것은 이제 겨우 100년이 지났다. 냉동기의 개발은 다양한 산업에서 생산품의 양과 질을 혁신적으로 향상시켰다. 또한 식품산업에서도 보관과 수송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해외 선진국에서는 식품을 정온으로 유지시키는 콜드체인(coldchain)산업이 크게 발전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1인당 GDP 3만2,000불을 넘긴 현재 더 신선하고 맛있는 식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콜드체인은 ‘Farm to Table, 농장에서 식탁까지’라는 한 문장으로 요약된다. 식품을 생산지에서부터 소비자에게 전달하기까지 신선도와 맛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유지하는 연속적인 과정인 것이다.


이는 예냉, 저온저장, 저온수송, 저온유통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하나의 가치사슬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각 분야에 걸친 산업들이 모두 연관되며 동반성장을 꾀할 수 있는 거대한 산업이다.


이번 ‘all that cold chain’ 특별기획에서는 국내·외 콜드체인산업 동향을 살펴보고 각 분야별 대표기업들을 소개한다. 


콜드체인, 정온물류의 연속

신선물류 혹은 콜드체인은 단지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시키는 정온물류(temperature controlled supply chain), 즉 공급사슬 내에서 온도를 제어하는 기술과 관리기법을 통칭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콜드체인은 크게 3가지 기술의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제품화 기술이다. 신선제품이든 가공제품이든 콜드체인물류상의 온·습도 조건은 제품의 특성에 따른다. 여기에는 온·습도에 대한 민감성, 온·습도 유지조건 등 제품자체의 특성을 비롯해 포

장 등 제품가공기술이 포함된다.


두 번째는 물류인프라 및 수송기술이다. 온·습도유지, 모니터링, 제어 등 수송 중 품질을 보전할 수 있는 창고시설 등과 포장, 온도조절 컨테이너, 트럭 등 장비기술이다.


세 번째는 품질검증 및 보증기술이다. 콜드체인 중 제품의 품질을 검증하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평가, 분석, 인증, 표준화 등 과학화된 운영프로세스다.





▲ 콜드체인의 요소


신선물류는 변패가능한 제품의 화학적, 생물학적 변화는 물론 공급방법에서 온·습도의 적절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또한 전처리, 보관, 수송 및 모니터링으로 이어지는 신선물류 공급망프로세스에 대한 관리가 수반되는 과학(science)이고 기술(technology)이며 프로세스(process)라고 볼 수 있다.


산업확장성 폭넓어

콜드체인산업은 제품의 유효기간 관리가 필요하고 공급망 전 과정에서 제냉기술, 보온기술, 상품품질 메커니즘 및 모니터링 등 다양한 융복합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냉장창고의 건설과 냉장차량 등 기반설비 및 장치비용이 높고 에너지비용이 크다. 운송의 경우 30%, 창고의 경우 통상적 물류비의 130%로 원가부담이 높다.


콜드체인의 대상품목은 농·축·수산물과 식료품을 비롯해 △화훼류 △의약품 △화학제품 △전자제품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넓다. 식품의 경우 △공급사슬 원료 및 제품의 부패 △긴 생산처리 시간 △생산계절 △콜드체인 수송과 저장의 필요성 △식품안전 문제 등과 같은 복잡한 특징이 있다.


세제나 샴푸, 치약, 방향제 등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일용품, 화장품, 화학제품(특수화학, 석유화학, 합성섬유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수지 재료 및 페인트 등)의 경우 온도변화에 따른 화학성분 및 제품성질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바이오의약품의 경우 생명과 직결돼 있는 상품이므로 운송 및 보관 과정에서 높은 투명성과 신선물류 시스템이 요구된다.



절단화훼 및 화분은 콜드체인시스템의 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수출화훼의 경우 더욱 온도조절 운송, 예냉처리(Pre-cooling)가 상품의 가치를 결정지으므로 중요한 요소다.


민감한 전기전자제품 역시 온·습도변화에 따라 제품성능저하 및 손상이 우려되므로 넓은 의미의 콜드체인에 포함될 필요가 있다.


신선물류의 온도관리 기준은 크게 일반(상온)과 냉장·냉동(저온)으로 구분된다. △급속냉동은 –50~-40℃ 영역으로 참치, 냉동어 △냉동은 –30~-10℃로 냉동육, 냉동어, 냉동식품, 아이스크림 등 △냉장은 –10~10℃로 –2℃ 이하에서는 유제품, 어패류, 생육, 계란류, 차류 곡물류, 10℃ 이하에서는 유제품, 약품, 청과물, 어패류 등 △정온은 10~40℃로 곡물류, 과자류 △고온은 40~60℃로 식용유지 등이 관리품목이다.



세계시장 동향 및 전망

콜드체인시장은 글로벌 신선제품 및 의약품의 무역이 활성화될수록 급성장해 식생활수준의 전반적인 향상과 식의약품물류 품질향상을 통한 변패폐기물 감소, 물류에너지절감에 대한 요구 등으로 지속, 확장되고 있다.


2016년 Foodlogistics.com이 발표한 ZION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콜드체인시장은 2015년대비 2020년까지 매년 13.9% 성장할 것이며 2014년 1,102억달러(약 122조4,300억원) 수준의 시장이 2020년에는 2,719억달러(약 302조8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시장조사기관인 markets and markets은 세계 콜드체인산업 시장규모를 2013년 978억4,000만달러(약 108조7,000억원) 수준에서 2019년 2,334억8,000만달러(약 259조3,000억원) 수준까지 연평균 15.6%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역별로 보면 2014년 기준 북아메리카(49%), 유럽(40%), 아시아·태평양(11%), 기타 지역 순으로 시장 규모가 크다. GDP & Temperature Management Logistics가 발표한 2014 Global Cold Chain Report에 따르면 2017년까지 콜드체인시장은 아시아에서 46%, 유럽에서 21%, 북미가 18% 성장했고 신흥개발도 상국에서는 무려 57%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주요 대상제품은 과실, 채소, 빵 및 과자류, 유제품, 냉동냉장 육류, 수산물, 사료 등 식품을 비롯해 바이오 및 의약품 등 육류, 어류 및 수산물이 45%를 차지했다.


식품과 의약품신선물류만 보더라도 2014년 현재 물량면에서는 약 5억5,209만m²로 지난 2년 동안 전 세계 신선물류용 창고시설이 20%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콜드체인시장의 주요산업인 제약분야의 세계시장 규모는 지역별로 보면 북미지역 시장규모가 47.7%로 가장 높고 △유럽 29.9% △일본 9.3% △아시아·아프리카·호주 8.6% △라틴아메리카 4.5%를 기록했다.


이중 콜드체인기술이 접목돼야 하는 제품의 규모는 전체의 약 10% 수준이며 콜드체인시장 확대에 따라 DB 쉥커를 비롯한 퀴네앤드나겔, 세바 등 다양한 글로벌 메이저 물류사들 간에 콜드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컨테이너에 냉동장치를 부착한 리퍼(reefer) 컨테이너도 일반화되고 있다. 1980년대만 하더라도 냉동화물의 약 1/3 정도가 리퍼 컨테이너를 사용했지만 1990년 47%, 2000년 68%, 2010년에는 약 90%가 리퍼 컨테이너를 사용하고 있다.


40ft 리퍼 컨테이너의 요금은 일반 컨테이너 요금의 4~5배정도 비싸지만 고객들은 리퍼 컨테이너를 사용해 일관운송서비스방식을 선호한다.


현재 이 시장은 글로벌 콜드체인 전문물류기업인 APL Logistics, Americold, CH Robinson, Crowley Fresh, DB Schenker, DSL Logistics 등이 선점하고 있다.


국내시장, 식품분야 국한

국내 신선물류의 시장규모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식품분야에 국한된 것이 현실이다.


국토교통부가 2013년 발표한 ‘해외건설 및 신선식품 물류현황 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에 따르면 국내 식품시장규모는 2012년 기준 농·축·수산업 71조원, 식품제조산업 70여조원, 도소매식품유통산업 186조3,000억원 등 약 328조원에 달한다. 이중 신선식품은 전체식품시장의 48% 수준인 약 160조원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거대 시장을 효율적으로 관리,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표준화를 통해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요구된다. 콜드체인표준의 수요대상이 되는 산업은 식품 및 의약품은 물론, 바이오, 페인트 등 화공 및 화학소재, 반도체 등 정밀제품 등 매우 광범위해 실제수요는 훨씬 클 것으로 전망된다.


보통 선진국의 신선식품시장이 전체식품시장의 80%에 달하는 것을 볼 때 향후 국내 신선식품시장의 성장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백신, 바이오시밀러(동등생물의약품) 등 바이오의약품의 경우 유통 시 온·습도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진동이나 빛의 영향 등도 고려해야 하며 수출·입 시 항공기의 지연, 온·습도의 급격한 변화 등에 대한 모니터링도 필요하다.


 

▲ 주요국 콜드체인산업 분석.



글로벌 의약품에 대한 신선물류시장만 2016년에 95억달러(약 12조원)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신선물류가 필수적인 국내 바이오의약품물류시장도 이미 3,500억원 규모로 매년 30%씩 증가하는 추세다.


한국은 콜드체인에 대한 수요와 기술개발 수준은 상당하지만 주요기술을 대부분 중소기업이 보유하고 있어 기술력은 아직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자료출처: ‘콜드체인 국내·외 표준동향’(김종경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해외사업팀장)


최인식 기자 ischoe@kharn.kr등록 2018-10-07


출처 : http://www.kharn.kr/news/article.html?no=7871

‘온 디맨드’ 빠른 확산, 물류서비스 미래는…


- 미국 당일 배송량 2022년에 40배 늘어, 시장 대비해야

   


 

   

  온디맨드(On-Demand) 시장 확대에 따른 물류서비스 체계의 급변이 미래 물류산업시장에 어떤 형태로 나타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온디맨드 경제의 핵심 경쟁력인 당일배송 물류수요도 오는 2022년이면 40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보여 이를 위한 각종 물류기술 발전은 IT기술과 맞물려 빠르게 진화할 대비책 마련이 시급할 전망이다. 

그럼 온디맨드 시장과 관련된 시장에서 조사된 통계수치는 무엇을 의미하며, 이를 기초한 향후 유통 물류시장은 어떻게 변화될까? 조만간 산업시장 전반에 쓰나미를 넘어서는 거대한 시장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보이는 온디맨드 시장의 특성과 이에 따른 물류시장 미래를 엿봤다.   


◆소비자, 당일배송에 추가 물류비 지불 의사 있어

 

온디맨드 시장 관련 통계수치를 살펴보면 유통물류시장 확대 트렌드와 이에 따른 물류서비스 시장 변화에 시장이 어떤 전략을 갖춰야 할지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현재 글로벌 소매사업자의 과반수는 당일배송을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 소비자들의 60%는 당일배송을 위해 추가 10달러 물류비를 더 지불할 수 있다고 밝힐 만큼 호응도가 높다. 

이 같은 결과는 불과 1년 전 당일배송을 지원하는 소매업자의 비율이 15%에 불과했던 것을 감안할 때 무려 3배 이상 성장한 수치다. 따라서 지금 추세라면 2019년 당일배송은 65%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 소비자의 60%는 당일 배송으로 가구 상품을 구입하는데 10달러의 추가 물류비를 지불할 용의가 있다고 답했다. 올해 미국의 당일배송 시장 규모는 40억 달러로, 지난 2014년의 1억 달러에 비교하면 40배에 달하는 성장세를 기록할 전망이다. 

미국에서의 온디맨드 경제는 연간 576억 달러 규모지만 주목할 점은 이 시장의 주된 소비자 층이 18~34세의 젊은 세대란 점이다. 또 미국 내 온디맨드 경제는 약 2,240만 명의 소비자들을 새롭게 끌어들이는데 성공하며, 파죽지세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온디맨드 경제의 구성요소에서 당일배송 부문은 41억 달러를 차지, 온라인 구매도 355억 달러에 달한다. 이와 함께 우버나 리프트와 같은 회사들로 구성된 운송업이 56억 달러, 그리고 피자이외 없었던 식음료 배달시장도 46억 달러의 구성비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거대시장의 소비자 연령대는 ‘49%가 소위 밀레니엄 세대’로 이중 29%는 35~54세 연령층으로, 향후 시장 확대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또 다른 부문에서 주목할 항목도 있다. 온디맨드 서비스 사용자 중 연간 가구소득 5만 달러 이하의 소비자가 46%에 달할 만큼 관련 물류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는 점은 유의미한 수치다. 결국 온디맨드시장 확대와 이에 따른 당일배송 물류서비스는 특정 계층이 아니라 소득 수준과 무관하게 대다수 고객들이 다소 높은 요금을 지불하더라도 빠른 물류서비스를 찾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런 추세는 온디맨드시장의 필수적인 서비스를 당일배송으로 인식, 유사 서비스 시장의 경우 얼마든지 더 커질 수 있음을 암시하는 셈이다.  



   

 

   

  ◆유통시장 급변, 물류서비스  지형 변화 불가피

사실 현재의 온디맨드시장 확대에 따른 물류서비스는 인터넷 출현 초기 시절인 1990년대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관련 서비스는 이미 15세기 잉카문명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을 만큼 필요성과 중요성 측면에서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1438년~1532년 사이 남아메리카에 존재했던 잉카문명에선 상품이나 주요 문서 배송의 신속성을 중시다. 또 잉카문명은 ‘Chasqui Runners(특별 파발꾼)’을 둬 각 도시 간 중요 문서나 물품을 배송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그 예로 당시 이들은 신선한 생선을 해안가에서 황제의 식탁으로 이틀 안에 배송하는 것이 가능했을 정도다.


이 같은 온디맨드시장과 서비스의 사전적 풀이는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유통 물류산업의 관점에서 보면 스마트폰을 포함,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를 통해 소비자 수요에 맞춰 맞춤형 제품을 주문하고, 이를 배송하는 서비스 경제 활동이다. 


이 시장 변화 결과는 이미 국내 시장에서 기존 유통시장을 밀어내고 있는 온라인 유통시장 대표주자 쿠팡을 비롯해 티몬, G마켓등과 이에 따른 당일배송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물류기업들의 성장이다. 또 글로벌 시장은 아마존, 알리바바 등이 새로운 유통과 물류산업혁명을 이뤄내며 시장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 덕분에 손바닥 위에서의 손쉬운 주문과 이에 발맞춰 빠른 배송서비스 덕분에 유통과 물류산업의 경계는 사라지고, 편리한 주문에 신속한 물류서비스는 기업들의 새로운 경쟁력이 되고 있다.


한편 온디맨드의 핵심 경쟁력인 당일배송으로 관련 서비스 확산에 따른 투자도 증가하고 있으다. 결국 빠른 물류배송은 거대 시장으로 성장한 온라인 구매에서 중요한 고객 결정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 결과 온디맨드 시장은 라스트마일 물류와 물류거점, 물류산업 전방의 지형을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온디맨드 시장 확대로 관련 업계, 투자도 빠르게 늘어

온디맨드 서비스 확산에 따른 또 다른 통계 수치도 흥미롭다. 미국인의 72%가 온디맨드 서비스를 사용할 정도로 관련 당일배송이 빠르게 확대됨에 따라 관련 시장의 투자 역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 12개월 간 운송산업에서 집행된 ‘온디맨드 관련 투자액은 지난 4년 동안 이루어진 총 투자 금액의 3배’에 달한다. 이와 같은 투자 증가는 빠른배송을 위한 도시 인근 물류거점의 투자 확대, 자동화 시설과 라스트마일 서비스 투자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관련 부문 투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온디맨드 산업에 뛰어들기 시작한 기업들의 수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현재 미국인들의 ‘72%가 온디맨드 서비스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통계에서 주목할 점은 미국 온라인 시장에서 구매 결정 요인 중 하나가 빠른 배송이라고 답한 것. 온라인몰에서 구매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 빠른 배송이라고 생각하는 소비자 비중이 18%에 달하고, 50% 이상의 온라인 기업들이 앞으로 3~5년 이내에 당일배송을 계획하고 있는 점도 시사점이 크다. 따라서 미국에서 ‘당일 배송으로 거래되는 물량은 향후 4년 동안 40배 이상 확대’될 전망이며, ‘온라인 쇼핑 사용자의 26%는 배송 기간이 너무 길 경우 거래를 포기’하는 것으로 조사될 만큼 관련 물류시장 투자와 서비스 개선에 대한 노력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온디맨드 시장 확대에 따라 물류 신기술 부문의 발전도 주목할 부문이다. 우선 블록체인 도입의 경우 물류보안과 가시성, 신뢰도 개선의 효과가 발생함에 따라 사용자들에게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또 로봇공학은 주문형 창고관리 업무를 간소화하는데 도움을 주고, 관련 업무 전체의 효율성과 배송 과정의 속도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 이미 UPS, DHL, FedEx 그리고 Amazon과 같은 대형 운송 및 유통업체들은 이미 로봇공학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운용하고 있다.


이처럼 온디맨드 시장 확산은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물류업계의 새로운 전략과 대비책 마련이 절실해 지고 있다. 


온디맨드란(on-demand)란?

모바일을 포함한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를 통해 소비자의 수요에 맞춰 즉각적으로 맞춤형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제 활동을 말한다.


손정우 기자 2315news@klnews.co.kr

신선식품 온도 모니터링 서비스 '체크로드', K-SHOW 2018 출품


<콜드체인 배송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인 체크로드>


오는 29일부터 31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K-SHOW 2018에 넷매니아(주)가 개발한 체크로드 솔루션이 출품된다. 기존 솔루션에 수산물, 육류, 청과물 등 신선 식료품을 포함해 한층 업그레이드됐다.


체크로드는 신선식품 온도 모니터링 서비스로, 냉장(또는 냉동) 창고 안에서의 출하시점부터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순간까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해서 관리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소비자에게 전달된 이후 사용 직전까지도 서비스할 수 있다.


운송 도중 이상 징후를 포착할 수 있어 현장에서 즉각 조치 가능하다. 이로써 운송 도중에 콜드체인이 깨지면서 야기되는 많은 잠재적 위험을 줄인다.


콜드체인 전체 라이프사이클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은 최종 사용자에게 배송하는 마지막 단계(last mile)인 차량 배송 부분의 체인이다. 체크로드는 바이오의약품 콜드체인 시장에서 최종 소비하는 병원 등 의료기관에 운송하는 마지막 부분의 콜드체인에 특화된 솔루션이다.


체크로드는 표준 프로토콜을 준수한 모든 IOT센서가 탈부착 가능하고, 언제 어디서나 사용 가능하다.


이춘화 넷매니아 사장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솔루션 개발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며 "체크로드가 국내외 물류유통 산업 발전에 필요한 신선식품 콜드체인에 기여할 것"이라며 기대했다.

 

넷매니아는 1998년 설립된 소프트웨어(sw)개발 전문기업이다. 전자세금계산서 대행서비스 ‘센드빌’을 운영한다.


 권선아 (sunak@etnews.com)


원문 : http://www.etnews.com/20180820000196



[인터뷰]“‘먹이기’에서 ‘식사하기’로 바꾸겠다”



국방부 물자관리과 유정율 과장


[대한급식신문=김기연 기자] 

지난달 20일 전국 40만 장병의 급식을 책임지는 국방부 물자관리과장으로 부임한 유정률 과장이 본지와 인터뷰를 가졌다. 유 과장은 ‘앞으로 군급식의 발전방향’에 대해 “앞으로 군급식의 방향은 이전의 ‘먹이기’(feeding)에서 벗어나 ‘식사하기’(dining)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Q.  군급식 개선을 위해 그동안 국방부가 기울여 온 노력과 성과가 있다면?

먼저 영양학적으로 균형 잡힌 식단 제공이 중요하다고 여겨 2016년 12월 KIDA(한국국방연구원)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1인 장병 영양섭취기준을 재설정했다. 여기에는 군 장병들의 체격과 군생활 여건 변화를 감안했다. 대표적인 것이 훈련강도를 고려해 단백질 섭취비율을 기존 15.1%에서 17%로 올린 부분이다. 이런 변화의 바탕에는 국방부의 꾸준한 노력이 있었다. 2013년 6135원이었던 하루 장병급식비를 2018년 7855원까지 끌어올렸다. 


Q.  군급식 조리실 환경도 대폭 개선됐다고 하는데.

민간식당(학교급식, 대기업, 관공서)을 벤치마킹해 출입구 에어커튼, 시스템 에어컨 등 냉·난방 및 위생설비를 확충하고 조리인력 휴게실도 개선했다. 노후화된 취사 물자·기구를 민간의 발전추세와 위생을 고려해 신형으로 교체하고 스테인리스 퇴식대 및 잔반처리기도 도입했다. 뿐만 아니라 올해 3개 식당을 대상으로 식당환경(시설·물자·기구) 개선을 추진하고 있으며 점차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Q.  군급식 개선방향과 장기적인 비전을 설명해주신다면?

전 장병(40만여 명)에게 매일 3식을 중단 없이 제공해야하는 군급식의 특성을 고려할 때 효율성 및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 기존에 사단별로 나눠진 부식분배소를 통합하고 콜드체인 배송시스템(Cold Chain System)을 갖춘 ‘급식유통센터’를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급식유통센터는 현재 전라권(2012년), 충청권(2016년), 경상권(2017년), 경기일부(2018년)까지 4개소를 운영 중이다. 이와 함께 조리병의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농·축·수산물 전처리 수준을 제고하고 민간조리원 편성을 확대하는 등 급식 제도와 운영방식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것이다.



원문 : http://www.f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14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