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청소년 계층 소비자와 인터넷 - 중국 청소년은 미래 중국의 중요한 잠재적 소비자 - - 중국 청소년을 사로잡으려면 SNS로 다가가라 -
□ 중국 청소년이 놓인 상황
○ 부모로부터 받는 스트레스가 가장 큰 중국 청소년 - 현실에 대한 만족도는 미국, 한국, 일본과 비교했을 때 가장 낮음. - 원인은 8시간 이상 학교에서의 생활, 부모의 강한 통제와 교류 부족 등임.
한·중·일·미 4국 청소년 비교 자료원: 当代期刊,나라별 청소년 1000여 명 대상으로 조사
□ 인터넷은 중국 청소년의 안식처
○ 억압받는 환경에서 인터넷은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무대 - 과거 중국의 교육시스템에서 자신의 개성과 의견을 표출하는 부분은 경시됨. - 현재 자신의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주요 이슈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표출 - 자신들의 생활모습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올리면서 자신의 삶을 표출하고 공유함. - 음식을 먹기 전에 음식물을 찍어 인터넷에 올리는 트렌드
○ 인터넷은 중국 청소년에게 정보의 창고 - 안부를 묻는 수단일 뿐 아니라 각종 정보를 구하는 채널 - 각종 정보를 교환하고 제품기능에 대해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는 곳 - 청소년은 작은 일에서부터 큰 일까지 인터넷에 있는 정보를 참고해 의사결정
자료원: 百度
□ 휴대전화에 있는 중국 청소년의 상징
○ 휴대전화는 연결의 수단이자 독립의 상징 - 청소년의 휴대전화 이용자 증가율은 매년 크게 증가(2012년 94% 증가) - 청소년이 정보에 접근할 때 제일 먼저 이용하는 수단 - 부모는 자녀의 성적이 우수할 때 보상으로 스마트폰을 구입해줌. - 중국 청소년은 자신만의 컴퓨터가 없어 휴대전화는 자신만의 것이라는 의미를 지님. - 휴대전화는 부모의 감시를 피해서 인터넷에서 친구와 지속적인 교류하는 공간
□ 중국 청소년이 이용하는 대표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
- 중국 앱계의 1위, 단순 채팅앱에서 벗어나 다양한 SNS서비스 제공(Q-zone 등) - 컴퓨터나 휴대전화를 켜자마자 실행하는 앱이자 가장 사용시간이 긴 앱 - 웨이보 등에서 정보를 얻는 것보다 손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음.
○ 微信(weixin) - 중국 청소년이 전화나 문자 대신에 쓰는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 2억 명이 넘은 떠오르는 애플리케이션
□ 중국 청소년의 소비
○ 청소년 문화가 바로 소비문화 - 가라오케, 영화관, 콘텐츠 등에 돈을 지불하고, 서비스를 즐기는 과정 자체가 청소년 문화 - 대표적 사례: 6조2000억 원 온라인 게임산업, 1억2000만 이용자 중 대다수가 10대 - 유행에 민감해 CK jeans, Sisely 등의 명품 등을 소비하는 문화
○ 상품 구매의 잠재고객 - 도시 청소년의 연간 용돈 규모는 600억 위안, 청소년을 위해 가정에서 들이는 금액은 2300억 위안 - 친구들과 직접 쇼핑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실질적인 구매는 인터넷 공간에서 이루어짐. - 청소년은 인터넷에서 상품을 구입하는 것이 더 저렴하고 선택의 범위가 넓다는 점을 인지함. - 부모가 원하는 제품을 인터넷에서 대리 구매
□ 전망 및 시사점
○ 인터넷이라는 채널을 통해 중국 청소년에게 접근할 때 - 인터넷 공간 안에서 기존 한류의 우호이미지를 통해 좋은 기업 이미지를 구축한다면 중국의 미래 소비자 확보 가능 - 중국 청소년이 타깃 소비자라면 막대한 광고비를 통한 마케팅보다 SNS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임. - QQ, Weixin 등의 애플리케이션과 Weibo 등을 이용해 다양한 각도에서 중국 청소년에게 접근하는 SNS 마케팅이 필요함. - 의류업체, 식품업체보다 직접적인 경험을 덜 요구하는 전자제품 등의 상품이 유리 - 미래의 중국의 주 소비자이므로 단기적인 플랜이 아닌 장기적인 플랜 필요할 것임.
자료원: 百度,视觉中国,当代期刊 | |||||
< 저작권자 ⓒ KOTRA & globalwindow.org > |
'Start up challenage!! > 글로벌 진출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1.3억대 중국, 모바일 인터넷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은? (0) | 2013.07.29 |
---|---|
중국 웨이보(微博) 사용자 증가 및 국내운영사례(서울시) (0) | 2013.07.29 |
中, 웨이보로 소비자와 소통하는 기업들 (0) | 2013.07.29 |
디지털 격차를 메우는 칭화통팡 컴퓨터 (0) | 2013.07.26 |
KOTRA 해외 진출 전문가를 만나다. (0) | 2013.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