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ogistics

패션물류,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될까?

by Jinny815 2018. 5. 2.

패션물류,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될까?

[알아두면 쓸모있는 유용한 물류사전]

제4화 패션물류 설비의 발전단계


KALL FORUM 김한성 회장




일반적인 패션물류업무는 아래와 같이 패션물류 진행 프로세스의 기본 틀 안에서 진행된다. 생산 입고계획에 의거 입고작업 공정을 진행하며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에 입고 등록된 정보를 유관부서로 송신시켜주고 마케팅에서는 실물재고를 기초로 각 스타일별, 대리점별 의뢰수량을 기준으로 출고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출고 작업공정은 자동행거, 플랫 소터기를 활용 하거나 DAS시스템을 사용하여 배분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초도상품의 출고율은 평균 70~80% 수준이다.


출고의뢰 제품은 제품의 특성에 따라서 행거물과 BOX물로 구분하여 배분작업을 진행한다. 배분의뢰는 초도상품의 경우 익일 출고분을 당일 오후 14시까지 영업MD가 배분등록 의뢰하며, 판매분은 판매 시 마다 즉시 POS에 등록을 하며 실시간으로 본사 판매시스템에 전송을 하여 자동으로 출고의뢰를 하게 된다.

당일 판매분 및 고객 예약분은 13시까지 배분의뢰를 받아 출고시킨다. 일부 행거 고가품은 행거 배송차량을, BOX물은 일반택배를 이용하여 전국 백화점과 대리점에 공급하고 있다.


패션물류센터에서 출고를 위한 기본설비로 초창기에는 DPS(Digital Picking System)와 DAS(Digital Assorting System)을 주로 사용하였고, 최근에 신축되는 패션물류센터에는 자동화 설비인 PAS(Piece Assorting System), 플랫 소터기, 행거소터기를 활용하여 물류업무 효율을 위해 활용하고 있다. 


초창기에 출고시스템으로 사용된 DPS, DAS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PS(Digital Picking System)란 선반(Rack)의 각 칸마다 품목이 저장되어 있고, 피커가 피킹하려는 주문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주문에서 피킹해야 하는 품목들의 위치에서 선반에 설치된 디지털 표시기(LED)에 피킹 수량이 표시되어, 피커가 별도의 피킹 전표 없이도 이들을 차례로 피킹하여 박스에 담아 하나의 주문을 완료하는 피킹방식이다. (유강철 외, 2012)


이러한 DPS 기본 흐름은 출고 DATA 전송 → 표시기 점멸 확인 → 상품 피킹 → 검수/출고단계로 진행된다.





DPS 특징은 출고 매장별 피킹(채취식) 작업방식으로 진행되며, 매장 수 만큼 피킹 동선이 발생할 수 있어, 존(블록)단위로 피킹 구역을 구별하여 동선을 축소하여 피킹효율을 높인다. 출고시간에 따라 먼저 출고해야 할 오더부터 피킹이 가능하며, 기존 랙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설비공간이 필요 없다.


적용범위는 SKU 수가 거래처 보다 적은 경우에 DPS를 활용할 시 생산성의 향상을 볼 수 있기 때문에 히트율이 높은 상품에 적합하며, 다품종 소량 다빈도 상품에 적합하다.  따라서 재고 보관형 물류센터에 적합한 출고 시스템이다.


DAS(Digital Assorting System)란 선반의 각 칸에 고객사로 각 공 박스를 놓고, 출고될 모든 품목들에 대해 각 품목별로 총 주문량을 먼저 뽑아서(‘총량 피킹’이라고함) DAS지역으로 가져온 후에 피커가 품목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입력하면 해당 품목이 가야 하는 고객사의 위치에서 선반에 설치된 디지털 표시기(LED)에 분배 수량이 표시되어, 피커가 별도의 전표 없이도 해당 품목을 가지고 이동하면서 표시 수량만큼 차례로 해당 매장별 박스에 배분한다. 모든 품목을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객사별로 배분하면 당일의 DAS 작업이 종료된다. (유강철 외, 2012)


이러한 DAS 기본 흐름으로는 출고 DATA 전송 → 제품 총량 피킹 → 제품 스캔 → 상품 분배 → 검수/출고 단계로 진행된다.


DAS특징으로는  품종별 집약 피킹(파종 식) 작업방식으로 진행되며, 피킹 회수가 집약되기 때문에 피킹 동선이 대폭 단축되어 피킹 효율이 높다.


출고시간이 지정되어 있는 오더를 하나의 배치로 편성 대응하여 배분할 수 있음으로 출고시간을 조율할 수 있다. 


상품 집약 및 분배 작업의 특성으로 BOX별 마감하여 거래명세서를 발행할 수 있음으로 출고수량 체크가 용이하며, DPS와 다르게 DAS는 신규 랙 설비와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적용 범위로는 SKU 수가 거래처 수보다 많은 경우에 DAS를 활용할 시 생산성의 큰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히트율이 낮은 상품에 적합하며, 소품종 다량 다빈도에 적합하다. 따라서 무재고 와 Cross-dock 물류센터 운영에 적합한 시스템이다.


패션물류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출고부분 물류설비 시스템으로 초창기와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에서는 DPS시스템과 DAS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각 패션기업은 영업형태와 상품형태에 따라 최적의 물류설비 시스템을 도입해야 물류센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 물류와 경영 >

원문 : http://www.ksg.co.kr/news/main_newsView.jsp??bbsID=news&pNum=117529&bbsCategory=KSG&categoryCode=all&backUrl=main_news